User Manual
DTX700
참고
설명서
2
DTX700
내부
설계
이 본편에서는 패드를 두드리는 것과 스피커에서 사운드
가 출력되는 것 사이에 DTX700 내에서 발생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합니다. 신호의 흐름과 내부 처리 방식을 이해하
면 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악기의 강력한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패드
및
트리거
신호
패드를 두드릴 때마다 다양한 연주 데이터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트리거 신호가 생성됩니다. 일반적으로 이 신호에는 패
드를 두드릴 때의 강도, 실제로 두드린 위치 등이 반영되며 케
이블과 트리거 입력 잭을 통해 DTX700의 내장 톤 제너레이터
로 전달되면 톤 제너레이터가 그에 해당하는 드럼 사운드를
출력합니다. 1초 동안만 생성되도록 설정할 경우 트리거 신호
형식과
드럼 음색 출력 사이에 1대 1 관계가 형성됩니다. 그러
나 일부 형식은 두드린 위치, 사용된 드럼 연주 기법 및 기타 요
인이 반영되는 다양한 형식의 트리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습
니다.
[용어]
존
“존”은 림, 컵, 헤드 같은 패드의 특정 영역을 지칭할 때 사
용하는 용어입니다. 존이 여러 개인 패드(예: 2존, 3존 패드)
는 각각 서로 다른 트리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름
에서 알 수 있듯이 1존 패드는 두드리는 부분과 상관없이
단 1개의 신호만 생성합니다.
트리거 입력 소스
트리거 입력 소스는
해당 패드 또는 페달을 두드리거나 작
동하는 방식에 따라 이름이 부여됩니다.
1
존
패드
(
단일
트리거
신호
생성
)
TP65 1존 드럼 패드 또는 PCY65 1존 심벌즈 패드 같은 모노
패드는 두드리는 부분과 상관없이 단 1가지 형식의 트리거
신호를 DTX700으로 전송합니다.
2
존
및
3
존
패드
(
다수의
트리거
신호
생성
)
PCY65 1존 심벌즈 패드 및 기타 모노 패드와 달리 PCY65S
2존 심벌즈 패드 같은 멀티 존 패드는 두드리는 존에 따라 2
가지 형식의 트리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PCY135 3존 심
벌즈 패드는 3가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일부 조건
에서 멀티 존 패드는 2존 또는 3존 패드로 제작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에 나오는 PCY135 3존 심벌즈
패드는 보우, 에지,
컵의 3가지 트리거 입력 소스로 구성되며 각 소스를 두드릴
때 트리거 입력 신호를 생성합니다.
예:[yCRASH1] 트리거 입력 잭에 연결될 경우의
PCY135 트리거 입력 소스
트리거
입력
소스
:
“Crash1Bw”
보우의 트리거 입력
소스에 지정된 음색
이 재생됩니다.
트리거
입력
소스
:
“Crash1Eg”
트리거
입력
소스
:
“Crash1Cp”
보우
에지
컵
에지의 트리거 입력
소스에 지정된 음색
이 재생됩니다.
컵의 트리거 입력 소
스에 지정된 음색이
재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