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 가이드(PDF판)
Table Of Contents
- 목차
- 첫 번째 사진을 빨리 보고 싶을 때
- 시작하기 전
- 카메라 부위
- 메뉴 사용하기
- 첫 단계
- 기본 촬영 및 재생
- 촬영 설정
- 동영상 녹화
- 사진 보기
- 사진 편집
- 동영상 편집
- 음성 메모
- HDMI TV 및 레코더에 연결하기
- 스마트 기기에 연결하기
- 컴퓨터 또는 FTP 서버를 통해 연결
- 다른 카메라에 연결하기
- 플래시 촬영
- 리모트 플래시 촬영
- 사진 촬영 메뉴
- 메뉴 항목 및 기본값
- 촬영 메뉴 뱅크
- 메뉴 뱅크 옵션 추가
- 저장 폴더
- 파일명 설정
- 기본 슬롯 선택
- 보조 슬롯 기능
- 이미지 영역
- 계조 모드
- 화질
- 화상 사이즈 설정
- RAW 촬영
- ISO 감도 설정
- 화이트 밸런스
- Picture Control 설정
- Picture Control 관리
- Picture Control (HLG)
- 색공간
- 액티브 D-Lighting
- 장시간 노출 노이즈 감소
- 고감도 노이즈 감소
- 비네트 컨트롤
- 회절 보정
- 자동 왜곡 보정
- 피부보정 효과
- 인물 인상 조정
- 사진 플리커 현상 감소
- 고주파 플리커 감소
- 측광 방식
- 플래시 제어
- 플래시 모드
- 조광 보정
- 초점 모드
- AF 영역 모드
- AF 피사체 인식 옵션
- 손떨림 보정
- 자동 브라케팅
- 다중 노출
- HDR 합성
- 인터벌 촬영
- 타임랩스 동영상
- 초점 시프트 촬영
- 동영상 녹화 메뉴
- 메뉴 항목 및 기본값
- 촬영 메뉴 뱅크
- 메뉴 뱅크 옵션 추가
- 저장 폴더
- 파일명 설정
- 전송 대상
- 동영상 파일 유형
- 화상 사이즈/프레임 수
- 동영상 화질(N-RAW)
- 이미지 영역
- 확대 오버샘플링
- ISO 감도 설정
- 화이트 밸런스
- Picture Control 설정
- Picture Control 관리
- HLG 품질
- 액티브 D-Lighting
- 고감도 노이즈 감소
- 비네트 컨트롤
- 회절 보정
- 자동 왜곡 보정
- 피부보정 효과
- 인물 인상 조정
- 동영상 플리커 현상 감소
- 고주파 플리커 감소
- 측광 방식
- 초점 모드
- AF 영역 모드
- AF 피사체 인식 옵션
- 손떨림 보정
- 전자식 손떨림 보정
- 마이크 감도
- 감쇠 장치
- 주파수 응답
- 바람소리 억제
- 마이크 잭 플러그인 전원
- 헤드폰 음량
- 타임코드
- 외부 녹화 제어(HDMI)
- 고해상도 줌
- 사용자 설정 메뉴
- 메뉴 항목 및 기본값
- 사용자 설정 뱅크
- a1: AF-C 우선 조건 선택
- a2: AF-S 우선 조건 선택
- a3: 초점 추적 고정 ON
- a4: 초점 포인트 사용
- a5: 방향별 포인트 저장
- a6: AF 렌즈 구동
- a7: 초점 포인트 지속
- a8: AF 영역 모드 선택 제한
- a9: 초점 모드 제한
- a10: AF 포인트 순환
- a11: 초점 포인트 표시
- a12: 내장 AF 보조광
- a13: 초점 피킹
- a14: 초점 포인트 전환 속도
- a15: AF 모드 수동 초점 링
- b1: ISO 감도 설정 간격
- b2: 노출 설정 간격
- b3: 노출 보정 간이 설정
- b4: 멀티 패턴 측광 얼굴 인식
- b5: 중앙부 중점 측광 범위
- b6: 기준 노출 미세 조정
- b7: f/값 조정 시 노출 유지
- c1: 셔터 버튼 AE-L
- c2: 셀프 타이머
- c3: 전원 OFF까지의 시간
- d1: 연속 촬영 속도
- d2: 연속 촬영 컷수
- d3: 프리 릴리즈 캡쳐 옵션
- d4: 동조 촬영 모드 옵션
- d5: 셔터 속도 범위 확대(M)
- d6: 선택 이미지영역제한
- d7: 파일명 연속 번호
- d8: 뷰 모드(사진 Lv)
- d9: 스타라이트 뷰(사진 Lv)
- d10: 웜 디스플레이 컬러
- d11: LCD 조명
- d12: 연사 모드에서 모두보기
- d13: 릴리즈 타이밍 표시
- d14: 이미지 프레임
- d15: 격자선 유형
- d16: 가상 지평선 유형
- d17: 모니터 촬영 화면 설정
- d18: 파인더 촬영 화면 설정
- d19: 고 fps 뷰파인더 표시
- e1: 플래시 동조 속도
- e2: 플래시 셔터 속도
- e3: 플래시 노출 보정
- e4: 자동 플래시 ISO 감도 제어
- e5: 모델링 발광
- e6: 오토 브라케팅(M모드)
- e7: 브라케팅 보정 순서
- e8: 플래시 연사 우선 모드
- f1: i 메뉴 사용자 설정
- f2: 사용자 제어 설정(촬영)
- f3: 사용자 제어 설정(재생)
- f4: 제어 고정
- f5: 다이얼 회전 방향 변경
- f6: 버튼 홀드 설정
- f7: 표시기 값 방향 설정
- f8: 초점 링 회전 방향 변경
- f9: 초점 링 각도 설정
- f10: 컨트롤 링 감도
- f11: 초점/컨트롤 링 기능변경
- f12: 전체 프레임 재생 넘김
- f13: 서브 셀렉터 중앙부
- g1: i 메뉴 사용자 설정
- g2: 사용자 제어 설정
- g3: 제어 고정
- g4: AF 영역 모드 선택 제한
- g5: 초점 모드 제한
- g6: AF 속도
- g7: AF 추적 감도
- g8: 고해상도 줌 속도
- g9: 미세 ISO 자동(M 모드)
- g10: 셔터 속도 범위 확대(M)
- g11: 뷰 어시스트
- g12: 제브라 패턴
- g13: 제브라패턴 계조범위제한
- g14: 격자선 유형
- g15: 밝기 정보 표시
- g16: 모니터 촬영 화면 설정
- g17: 파인더 촬영 화면 설정
- g18: 빨간색 REC 프레임 표시
- 재생 메뉴
- 설정 메뉴
- 메뉴 항목 및 기본값
- 메모리 카드 포맷
- 언어(Language)
- 시간대 및 날짜
- 액정 모니터 밝기
- 액정 모니터 컬러 밸런스
- 뷰파인더 밝기
- 뷰파인더 컬러 밸런스
- 파인더표시 크기(사진 Lv)
- 모니터 모드 선택 제한
- 화면정보 자동회전
- AF 미세 조정 옵션
- 비 CPU 렌즈 정보 설정
- 초점 위치 저장
- 자동 온도 안전 차단
- OFF 시 센서 쉴드 움직임
- 이미지 센서 클리닝
- 이미지 먼지 제거 데이터
- 픽셀 매핑
- 화상 코멘트
- 저작권 정보
- IPTC
- 음성 메모 옵션
- 카메라 소리
- 무음 모드
- 터치 컨트롤
- HDMI
- USB 연결 우선
- 위치 정보
- 무선 리모트(WR)옵션
- 리모트(WR)Fn 버튼 설정
- 인증 마크 표시
- 배터리 체크
- USB 전원 공급
- 에너지 절약(사진 모드)
- 빈 슬롯 릴리즈 금지
- 메뉴 설정 저장 및 로드
- 모든 설정 초기화
- 펌웨어 버전 정보
- 네트워크 메뉴
- 내 메뉴/최근 설정
- 문제 해결
- 부록
- 색인
●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
카메라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도록 건조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보관하십시오. 카메라를 나프타 또
는 좀약과 함께 강한 전자파장이 생성되는 기기 옆이나 고온 환경(예: 난방기 근처 또는 더운 날 밀폐
된 차량)에 보관하지 마십시오. 이 주의 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제품이 오작동할 수 있습니다.
● 장기간 보관
제품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액 누출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분리하
십시오. 제습제와 함께 카메라를 비닐 봉지에 넣어 보관하십시오. 하지만 가죽 카메라 케이스는 비닐
봉지에 넣어 보관하지 마십시오. 재질이 변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배터리는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십시오. 제습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제습력이 떨어지므로 정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곰팡이 발생을 방지하려면 적어도 한 달에 한 번씩 카메라를 보관 장소에서 꺼낸 다음 배터리를 넣고
셔터를 몇 차례 눌러줍니다.
● 전원을 끊거나 분리하기 전에 카메라 전원 끄기
카메라가 켜진 상태에서 전원을 끊거나 분리하면 카메라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진을 기록하
거나 삭제하는 동안 전원을 끊거나 분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모니터/뷰파인더
모니터와 뷰파인더는 매우 높은 정밀도로 구성됩니다. 픽셀 유효율은 99.99% 이상이며 누락율이
나 결함율은 0.01% 이하입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에는 항상 불이 켜져 있거나(흰색, 빨간색, 파란
색 또는 녹색) 항상 꺼져 있는(검은색) 픽셀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는 오작동이 아닙니다. 장치에
기록된 사진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이점을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밝은 곳에서는 모니터 사진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모니터에 압력을 가하지 마십시오.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손상될 수 있습니다. 먼지나 보풀은 블로
어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부드러운 천이나 섀미 가죽으로 모니터를 가볍게 닦아 얼룩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가 파손된 경우 깨진 유리 때문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모니터 액정이 피부에 닿거나 눈이나 입에 들어 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뷰파인더에서 구도를 잡을 때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상태가 개선될 때까지 사용을 중단합
니다.
구역질, 눈의 통증, 눈의 피로
현기증, 두통, 목이나 어깨의 뻣뻣함
손과 눈의 조정력 저하 또는 상실
멀미
연사 촬영을 하는 동안 디스플레이가 빠르게 켜졌다 꺼질 수 있습니다. 깜박거리는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면 몸이 안 좋아질 수 있습니다. 몸 상태가 좋아질 때까지 사용을 중단하십시오.
● 밝은 조명과 역광 피사체
밝은 조명이나 역광 피사체를 포함한 사진에는 드물게 라인 노이즈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897
카메라 및 배터리 취급: 주의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