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s Guide
다음 방정식은 스토리지 풀에서 VD를 생성하기 시작할 때 계획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방정식의 값은 자동
리빌드를 위해 각 VD를 생성하고 크기를 조정할 때 항상 풀 전체에 여유 HDD 및 SDD 원시 디스크 공간이 충
분하게 남도록 용량 계획의 상한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며, 개별 VD의 계층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안내하기
위한 방정식이 아닙니다. 자동 리빌드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 리빌드만 수행할 계획이라면 아래 방정식에서 자
동
리빌드를 위한 용량을 빼지 않아도 됩니다.
풀당
원시
SSD
사용
가능
용량
=(
풀의
SSD
개수
*SSD
용량
)-(SSD
용량
+
자동
리빌드
공간을
위한
8GB)*(
복구할
디스크
오류
개수
)
풀당
원시
HDD
사용
가능
용량
=(
풀의
HDD
개수
*HDD
용량
)-(HDD
용량
+
자동
리빌드
공간을
위한
8GB)*(
복
구할
디스크
오류
개수
)
생성하려는 스토리지 공간 유형에 따라 복원력 계수를 곱한 원시 값이 계층 크기가 됩니다. 예를 들어 복원력
계수는 단순 공간의 경우 1, 양방향 미러의 경우 1/2, 그리고 3방향 미러는 1/3입니다.
풀당
SSD
계층
=
풀당
원시
SSD
사용
가능
용량
풀당
HDD
계층
=
풀당
원시
HDD
사용
가능
용량
예를 들어, 4TB 디스크 48개와 800GB 디스크 12개를 이용해 tierPool1이라는 이름으로 풀을 생성합니다. 이
풀에 존재하는 VD는 2개에 불과합니다. 하나는 2wayVD1이라는 이름의 양방향 미러링을 지원하고, 나머지 하
나는
3wayVD1이라는 이름의 3방향 미러링을 지원합니다.
2wayVD1 HDD 계층은 크기가 42.7TiB로 현재 HDD 계층에 85.5TiB를 사용합니다. 이는 양방향 미러링의 복
원력 오버헤드가 50%이기 때문입니다. SSD 계층은 크기가 2TiB로 복원력 오버헤드에 따라 현재 SSD 계층에
4TiB를 사용합니다.
3wayVD2 HDD 계층은 크기가 27.9TiB로 현재 HDD 계층에 55.8TiB를 사용합니다. 이는 3방향 미러링의 복원
력
오버헤드가 66%이기 때문입니다. SSD 계층은 1.2TiB로 복원력 오버헤드에 따라 현재 SSD 계층에 2.4TiB를
사용합니다.
두 VD가 모두 생성되고 나면 HDD 계층에는 디스크 공간 33.42TiB가 남고, SSD 계층에는 디스크 공간 2.3TiB
가 남습니다.
표 10. 풀과 VD의 스토리지 계층에 사용되는 디스크 공간 값의 예
풀 이름
tierPool1
풀의 HDD 수
48
HDD 디스크 공간
4TB(3.64TiB)
24